페이지

2015. 4. 27.

차원과 지표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앞으로 데이터를 다룰 내용들에 앞서서 꼭 알고 있어야할 '차원과 지표'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표(Table)의 개념을 배웠는데요. 표를 요약하거나 요리조리 살펴보기 위해서 피벗테이블을 활용합니다. 피벗테이블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고자 하는 데이터가 차원인지 지표인지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차원과 지표'의 개념을 알면 타부서에 데이터 요청을 해서 분석을 하는 분들의 경우 내가 보고자 하는 데이터를 더 명확하게 전달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외에 구글애널리틱스나 MixPanel, Upsight, Flurry 등의 웹&앱 로그 분석툴을 이용할 때나 Tableau같은 BI(Business Intelligence) 툴을 사용할 때에 한 번은 이해를 해야 하는 부분이라 이참에 같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구분설명동의어예시
차원데이터를 구분짓는 분류 기준Dimensions, 디멘션, 측정기준(GA), 측정구분방문일, 국가, 나이, 성별
지표데이터의 정량적 척도Metrics(Measures), 메트릭, 측정항목(GA), 측정값나이, 판매량, 방문수, 조회수, 금액

차원은 사용자들이 조회하려고 하는 각각의 항목이기 때문에 텍스트나 숫자가 올 수 있습니다. 
지표는 평균, 개수, 합 등의 계산 값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대체로 숫자라고 이해하면 좋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차원과 지표로 나누어서 이해해 봅시다.
  • 지역별 나이의 평균
  • 나이별 판매금액의 평균
  • 일자별 방문자수 합
  • 제품 카테고리별 판매금액의 합
지역별로 나누어 보려 하기 때문에 지역은 '차원'에 해당합니다. 나이의 평균은 '나이'라는 지표가 차원에 따라 계산(요약)된 값입니다.
나이별 판매금액의 평균에서는 나이가 '차원'에 해당합니다. 보고자 하는 것이 판매금액의 평균이고 그것을 나누는 기준이 나이이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숫자라고 무조건 지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차원과 지표를 결합해서 볼 것인가? 입니다.

위의 예시처럼 보고자 하는 것을 명확히 차원과 지표로 나누어 이해하면 내가 무엇을 함께 보고자하는지를 알게 되고, 리포트를 만들거나 분석을 하는 데 드는 시간이 더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 데이터를 직접 조회가 힘들어서 매번 다른 사람에게 요청을 할 때에도 위의 개념을 이해하면 커뮤니케이션하는데 훨씬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


감사합니다.

댓글 없음 :

댓글 쓰기

글 목록